|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Korean J Med Educ > Volume 24(1); 2012 > Article
의학교육연구: 교육현장의 아이디어로부터
일반적으로 대학교수의 임무는 교육과 연구 활동이 중심이 되고 있다. 의과대학 교수에게는 의사라는 직업 정체성이 추가되어 진료 활동의 책무가 추가되지만 의과대학 교수도 교육 및 연구 활동을 조화롭게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의과대학 교수가 수행하고 있는 교육과 관련된 환경과 내용들이 연구로 이어진다면 매우 고무적인 일일 것이다.
이번 호에 실린 논문의 저자들은 논문을 통해서 자신의 관심 분야에 대해 단순히 정보를 수집하고 보고하는 것을 넘어서 수집된 정보를 통해 의학교육 현장의 특정한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Roh et al. [1]은 임상실습 과정이 학생이 실제 환자를 경험하면서 의사의 역량을 습득하는 매우 중요한 단계임에도 불구하고 잘 시행되지 않음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임상실습 목표를 의사의 직무 중심으로 설정하고, 주요 임상표현별로 구체적인 학습성과목표를 개발하였다. 특히 학습성과바탕 교육이라는 개념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이 연구는 앞으로 직무 중심으로 학습성과목표를 개편하고자 하는 여러 대학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최근 의학교육 현장에서는 졸업 후 수행할 직무에 가장 근접한 학습형태로 표준화 환자(standardized patient, SP)나 시뮬레이션 장치를 활용한 교육 요구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좀 더 효과적인 교육을 위한 많은 도전적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Yoo et al. [2]은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수업에 전통적 방식과 구성주의 방식을 적용하여 학습자들의 반응과 학업성취도를 비교하여 좀 더 효율적인 교수방법이 무엇인지 제시하고자 하였다. SP를 활용한 교육 표준화 및 교육의 질을 보장하기 위해 SP trainer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므로 Kim et al. [3]은 SP trainer의 직무를 분석하고 SP trainer의 활동영역을 탐색하였다. 또한 Park and Kim [4]은 액션 러닝(action learning)의 개념을 적용하여 임상수행평가(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교육의 효과와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고, 교육 경험을 공유하고자 하였다.
의과대학 학생 관리 또한 의학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문제이다. Lee et al. [5]의 연구에서는 의과대학생들의 우울,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등 정신건강상태를 학년별로 파악하고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이는 의과대학생들의 정신건강을 관리해주고 도와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의학교육 연구도 다른 기초 및 임상의학 연구와 비슷한 절차를 밟게 되는데, 먼저 의학교육 현장으로부터 아이디어를 찾고 선행 연구를 리뷰하여 연구 문제를 분명히 설정하고, 그에 맞는 연구 설계 및 방법을 정하며, 측정하고자 하는 결과 변수가 무엇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그러나 Beckman et al. [6]은 의과대학 교수들이 의학교육 연구를 수행하는데 다음과 같은 장애요인이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의학교육 연구 주제가 기초 및 임상의학 연구에 익숙한 의과대학 교수에게는 다소 정밀하지 못하게 느껴질 수 있고, 때때로 의학교육 연구를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필수적인 기술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의학교육 연구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방법은 교수가 자신의 관심 분야를 확인하고, 의학교육 관련 국내외 저널에서 그 내용을 지속적으로 꼼꼼히 읽는 것이다. 또한 관심 주제가 비슷한 교수들이 모여 서로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발전시키며, 타당하고 신뢰로운 연구 방법론을 적용하다면 좀 더 쉽게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다. 향후 학교 및 학회 차원에서 의학교육 연구 모임 등이 활성화되어 많은 교수들이 학생교육에 시간을 할애하면서 교육 현장의 아이디어로부터 연구 성과물을 만들어 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REFERENCES

1. Roh HR, Rhee BD, Lee JT, Bae SK. Development of task-based learning outcomes according to clinical presentations for clinical clerkships. Korean J Med Educ 2012;24:31-37.
crossref pdf
2. Yoo HB, Park JH, Ko JK. An effective method of teaching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ACLS) skills in simulation-based training. Korean J Med Educ 2012;24:7-14.
crossref pdf
3. Kim SH, Lee YH, Yoo HB, Park JH. Job analysis of standardized patient trainer. Korean J Med Educ 2012;24:39-53.
crossref pdf
4. Park KH, Kim WJ. Teaching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using action learning techniques. Korean J Med Educ 2012;24:23-30.
crossref pdf
5. Lee KH, Ko Y, Kang KH, Lee HK, Kang J, Hur Y. Mental health and coping strategies among medical students. Korean J Med Educ 2012;24:55-63.
crossref pdf
6. Beckman TJ, Lee MC, Ficalora RD. Experience with a medical education research group at the Mayo Clinic. Med Teach 2009;31:518-521.
crossref
Editorial Office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Education
(204 Yenji-Dreamvile) 10 Daehak-ro, 1-gil, Jongno-gu, Seoul 03129, Korea
Tel: +82-2-2286-1180   Fax: +82-2-747-6206
E-mail : kjme@ksmed.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Medical Education.                 Developed in M2PI